마쓰다이라 스케토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다이라 스케토시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이다. 히타치국 가사마번주 혼조 무네스케의 아들로 태어나, 1684년 하고모토 요리아이가 되었고, 1691년 종5위하, 아키노카미에 서임되었다. 1699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가사마번주가 되었으며, 1701년 종4위하로 승진하고 지쥬에 임관했다. 1702년 빗추국에서 영지를 받아 하마마쓰번으로 이봉되었고, 1705년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로부터 마쓰다이라 성을 하사받았다. 뚜렷한 공적 없이 이례적인 출세를 한 것은 아버지의 연줄 때문이었다. 1723년에 사망했으며, 가독은 정실의 남동생 마쓰다이라 스케노리가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타코지 혼조가 - 마키노 야스시게 (에도 시대)
마키노 야스시게는 에도 시대에 요이타 번과 고모로 번의 번주를 지내며 재정 안정화, 농업 진흥, 간바라 신사 재건 등 지역 발전에 기여했다. - 기타코지 혼조가 - 게이쇼인 (1627년)
게이쇼인(1627년)은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측실이자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생모이며, 아들 쓰나요시가 쇼군이 된 후 종1위의 품계를 받았고 교토 사찰 재건에 힘썼다. - 혼조 마쓰다이라가 - 다카모리번
다카모리번은 겐로쿠 10년부터 쇼토쿠 원년까지 에치젠국 뉴군 다카모리에 위치했던 번으로, 기슈 마쓰다이라가와 혼조 마쓰다이라가가 다스렸으나 후사 없이 폐번되어 막부 직할령이 되었다. - 혼조 마쓰다이라가 - 하마마쓰번
하마마쓰번은 에도 시대 도토미국 하마마쓰에 있던 번으로, 여러 후다이 다이묘 가문이 번주를 역임하며 '출세성'이라는 별칭을 얻었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거점이기도 했으며, 폐번치현 이후 시즈오카현에 편입되었다. - 가사마번주 - 마키노 사다미치
마키노 사다미치는 18세기 일본의 다이묘로, 교토 쇼시다이를 역임하고 가사마 번으로 전봉되었으며, 43세에 사망했다. - 가사마번주 - 아사노 나가나오 (1610년)
아사노 나가나오는 아사노 나가시게의 장남으로 가사마 번주와 아코 번주를 역임했으며, 아코 성을 축성하고 염업을 발전시켜 아코 소금 생산을 증대시켰다.
마쓰다이라 스케토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마쓰다이라 스케토시 |
다른 이름 | 혼조 스케토시 아키노카미 분고노카미 호키노카미 |
출생 | 1660년 |
사망 | 1723년 8월 14일 |
국적 | 일본 |
직업 | 다이묘 |
생애 | |
시대 | 에도 시대 전기 - 중기 |
출생 | 만지 3년 (1660년) |
사망 | 교호 8년 7월 14일 (1723년 8월 14일) |
개명 | 혼조 스케토시 → 마쓰다이라 스케토시 |
통칭 | 다쓰노스케 |
계명 | 源徳院殿静誉善澄義海大居士 |
묘소 | 도쿄도아다치구히가시이코의 호주지 |
관위 | 종5위 하 아키노카미 종4위 하 시종 분고노카미 호키노카미 |
막부 | 에도 막부 |
주군 | 도쿠가와 쓰나요시 이에노부 이에쓰구 요시무네 |
번 | 히타치가사마번 번주 도토미하마마쓰번 번주 |
씨족 | 혼조 씨 → 혼조 마쓰다이라 가문 |
부모 | 아버지: 혼조 무네스케 어머니: 오쿠 도시자네의 딸 |
배우자 | 정실: 사노 가쓰요시의 딸 측실: 사사키 씨, 모리 씨, 가와무라 씨 |
자녀 | 무네야 무네나가 무네타다 도미타 도모노리 (7남) 딸 (도리이 다다아키라 정실) 딸 (마쓰다이라 요시타카 정실) 딸 (마쓰다이라 히사즈이 정실) |
양자 | 스케노리 |
가사마 번주 | |
전임 | 혼조 무네스케 |
후임 | 이노우에 마사미네 |
임기 | 1699년 ~ 1702년 |
하마마쓰 번주 | |
전임 | 아오야마 다다시게 |
후임 | 마쓰다이라 스케쿠니 |
임기 | 1702년 ~ 1723년 |
2. 생애
마쓰다이라 스케토시는 히타치국 가사마번의 다이묘 혼조 무네스케의 둘째 아들로, 1684년 쇼군 직속의 하타모토 반열에 올랐다. 1691년 아키노카미라는 통칭과 종5위하의 관위를 받았으며, 1699년 부친의 사망으로 가사마번주가 되었다. 1701년 종4위하로 승진, 빗추국에 2만 곡의 영지를 추가로 받아 총 7만 곡을 다스렸다. 1702년 도토미국 하마마쓰번으로 이봉되었다.
1705년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에게서 마쓰다이라씨 성을 하사받고, 통칭을 분고노카미, 호키노카미로 변경했다. 이는 아버지 무네스케가 쓰나요시의 생모 게이쇼인의 이복 동생이었던 덕분이었다.
스케토시는 여러 측실을 두어 많은 아들을 두었으나, 1723년 사망 당시에는 정실의 남동생 마쓰다이라 스케노리를 양자로 삼아 가독을 잇게 했다. 그의 묘는 도쿄도 신가와의 도카이사에 있다.
2. 1. 가사마번 번주
1660년 히타치국 가사마번주 혼조 무네스케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1684년 10월 10일, 쇼군 직속의 하타모토 반열에 올랐고, 1691년 말 아키노카미라는 통칭과 종5위하 관위를 받았다. 1699년 아버지 무네스케가 사망하자 가사마번의 다이묘가 되었고, 혼조씨의 당주가 되었다. 1701년 말 종4위하로 승진했고, 빗추국에 2만 곡의 영지를 추가로 받아 총 7만 곡의 영지를 다스리게 되었다. 1702년 9월 도토미국 하마마쓰번으로 옮겨졌다.2. 2. 하마마쓰번 번주
1702년 9월, 도토미국 하마마쓰번으로 옮겨졌다. 1705년 3월 23일,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는 마쓰다이라씨 성을 사용하는 것을 허락했고, 이 혜택은 그의 부친에게도 사후에 적용되었다. 그의 통칭 또한 분고노카미로 바뀌었고, 이후 호키노카미로 변경되었다.뚜렷한 공적도 없는데 이례적인 출세를 이룬 것은 아버지 무네스케가 쓰나요시의 생모 게이쇼인의 이복 동생이었기 때문으로, 연줄에 의한 발탁이었다.
2. 3. 말년
호에이 2년(1705년) 3월 23일, 제5대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로부터 마쓰다이라 성을 하사받았다. 그리고 분고노카미, 호키노카미로 전임했다. 교호 8년(1723년) 7월 14일에 사망했다. 향년 64세. 가독은 정실의 남동생인 마쓰다이라 스케노리가 이었다.뚜렷한 공적도 없는데 이례적인 출세를 이룬 것은 아버지 무네스케가 쓰나요시의 생모 게이쇼인의 이복 동생이었던 연줄로 발탁되었기 때문이다.
3. 가계
히타치국 가사마번의 다이묘 혼조 무네스케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1705년 3월 23일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에게서 마쓰다이라씨 성을 사용하는 것을 허락받았으며, 이 혜택은 그의 부친에게도 사후에 적용되었다. 그는 여러 측실을 두어 많은 아들을 두었지만, 사망 시에는 아내의 오라버니를 양자로 삼아 그가 뒤를 이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